자동차 사고로 생긴 물적 피해에 대한 손해액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산정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자
STEP 01 ▼ |
● 사고조사 | 보험사고 접수시 사고현장 확인 및 차주와의 면담을 통해 사고 원인을 찾아 보험사고 여부를 확인하고 당사자간 잘잘못의 비율(과실)을 결정하는 업무 |
STEP 02 ▼ |
● 피해물 관리 | 사고고 파손된 차량 및 기타 물건을 확인, 정비업체 또는 피해물 복구 업체와 수리 방법 및 범위를 확정, 완전한 수리가 될 수 있도록 관리 감독 |
STEP 03 ▼ |
● 보험범죄 조사 | 보험사고가 사회적으로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선의의 보험계약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사 기관들과 공조를 통해 보험범죄를 적발하는 등 사회공헌 실천 |
STEP 04 ▼ |
● 보험금 산정 | 피해물 수리가 완료된 후 소요된 비용의 적정성을 판단하여 지급할 보험금을 산정 |
STEP 05 | ● 고객서비스 | 단순히 보험금의 지급을 위한 업무 뿐 아니라 사고로 인한 고객의 아픔과 어려움을 공감,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의 방법을 제시하는 컨설턴트 역할 |
1차 시험 | 2차 시험 |
---|---|
|
|
자동차 보유대수의 급격한 증가와 교통사고 건수 급등으로 인하여 전문 손해사정사는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, 금융, 환경변화에 따라 손해사정사의 업무영역이 확대되고 있어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.
또한 보험산업의 발전에 따른 경제적,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어 최근 여러 언론매체에서 미래 과학기술 분야의 유망직업으로 보도되는 등 각광받는 직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.